사진전시회
사진에 대한 정보교환과 소통을 통해서 창의적인 작품 활동에 많은 도움이 되는 공간
갤러리
강화소창 2020 흔적을 찾아서
본 게시글 및 사진의 무단 복제,전재를 금합니다.
1. 원사, 작태하기
현재 면사는 파키스탄, 인도 등 외국에서 수입한다. 수입한 콘에 감긴 면사를 가공 처리하
기 위해 가장 먼저 태를 짓는 작업을 한다. 이를 ‘작태한다’ 라고 한다. 일종의 실타래를
만드는 작업이다.
옛 자료사진
옛 자료사진
2. 탈색과 건조 과정
작태한 것을 실솥에 넣고 삶은 다음 빠는 작업이다. 목화 특유의 붉은 색을 없애고 먼지를 제거하는 한편 실의 신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진행한다. 좋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는 너나없이 해야 하는 일이다.
3. 풀 먹이기와 말리기
옥수수 전분으로 풀을 쑤어 먹이고 햇빛 아래에 1주일 정도 말린다. 봄철에는 3일, 겨울철
은 10여 일이 걸린다. 풀을 먹인 태를 널어서 건조하는 과정이다. 공장에서 일을 하는 사 람은 부부이기 때문에 실을 널 때는 다른 작업을 할 수가 없다. 그러므로 다른 작업 공정 과 날씨 상황을 감안하여 날을 택하여 실을 널 수밖에 없는데, 이 날을 ‘실 너는 날’이라 부른다.
옛 자료사진
4. 물레(와인더)와 실톳(후다마끼) 작업
건조된 태를 물레에 걸고 와인더를 돌려 경사經絲, 날실와 위사緯絲, 씨실로 쓰일 실을 콘 과 후다에 감는 작업이다. 특히 씨실은 북에 넣어 직기에 거는데, 감는 막대를 ‘후다’라 부 른다. 일본어의 잔재로 보인다.
옛 자료사진
옛 자료사진
5. 나름하기
와인더에서 감은 콘의 실을 정경기의 물레에 감은 다음 ‘삐무’에 감는 작업과정이다. 날실 로 쓰는 실을 감는 작업이다. 삐무는 영어 beam에서 온 말로 보인다. 정경기를 통해 삐무 에 실을 감는 것을 ‘나름한다’고 하며, 이 작업을 하는 날을 ‘나름하는 날’이라 부른다.
옛 자료사진
옛 자료사진
6. 연경하기와 짜기
직기에는 날실을 제대로 걸어야 한다. 삐무의 실을 그때마다 직기에 거는 것은 매우 번거 로운 일이다.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실을 남겨 이를 연결해줘야 하는데, 이를 연경이라 한 다. 일일이 손으로 연결하는 이 작업은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. 연결 작업이 끝나면 직기 를 돌려 직조한다. 이때 기계가 돌아가는 소리는 무척 시끄럽다. 귀마개를 해야 할 정도인 데, 더러는 마개를 하지 않고 일한다. 그런 까닭에 공장을 운영하시는 분들 중 난청 증세 를 보이는 분도 있다.
옛 자료사진
옛 자료사진
옛 자료사진
옛 자료사진
옛 자료사진
7. 필 떼기
직조된 소창은 일정 단위로 끊어 제품화하는 과정이다. 손으로 직접 하는 곳도 있고, 검단 기로 하는 곳도 있다. 하지만 원리는 모두 같다. 30마 단위로 끊는데 이를 한 필이라 부른 다. 마碼는 1야드를 가리키는데, 1마는 약 90㎝이다.
옛 자료사진
8.소창의 재탄생
9.소창공장을 지키는 사람들
소창체험장
소창체험장
한일작물
옛 자료사진- 조양방직